일 잘하는데 부서를 왜 바꿔 15년간 한자리서 562억 꿀꺽

일 잘하는데

일 잘하는데 부서를 왜 바꿔 15년간 한자리서 562억 꿀꺽

일 잘하는데 부서를 왜 바꿔 15년간 한자리서 562억 꿀꺽

올해 내내 카카오 손절하더니 외국인이 다시 사모으는 이유

BNK경남은행의 횡령사건은 지난해 우리은행 횡령사건과 유사점이 많다. 전문성을 필요로하는

기업·투자금융 분야에서 벌어진 탓에 적발이 쉽지 않고, 사업별 취급액수가 큰 탓에 피해규모가 커졌다는 점까지 비슷하다.

여기에 횡령직원이 실적이 좋다는 이유로 장기간 해당부서에서 일했던 것도 공통점이다.

우리은행 사건 이후로 금융당국이

내부통제 강화에 전력투구하는 와중에 비슷한 사건이 적발돼 은행권의 자체 검사 시스템 재정비가 이뤄질 전망이다.

2일 경남은행에 따르면 이번 횡령사건은 최근 부동산 시장 불황으로 PF(프로젝트파이낸싱)대출에 대한 리스크를

점검하던 중 이상징후가 발견돼 조사가 시작됐다. 이후 경남은행 검사부에서 자체조사를 통해 77억9000만원에 대한 불법행위를 확인했다.

경남은행이 최초 신고한 77억9000만원 횡령은 부실화된 PF 대출(1건, 169억원)의 상환 원리금을

가족계좌 등에 이체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미 부실처리된 PF대출에 대해서는 상환금액 관리가 허술한 점을 노린 것으로 보인다.

이후 금융감독원의 점검 과정에서 484억원이 추가로 적발됐는데, 가장 많은 액수를 횡령한 방식은 차주(PF 시행사)

명의로 서류를 위조해 허위로 PF대출을 받은 것이다. 횡령직원은 두차례에 걸쳐 이같은 방식으로 총 326억원을 횡령했다.

PF대출의 상환자금 158억원을 상환처리하지 않고 자신이 담당했던 다른 PF대출 상환에 유용한 일도 적발됐다.

이번 사건에서 현재까지 발견된 피해규모는 562억원으로 우리은행 횡령사건(697억원)에 이어 역대 2위에 해당한다.

다른 은행 횡령사건들은 규모가 많아야 10억원 안팎인데 두 사건의 액수가 압도적으로 높다. 일반적인 횡령사건이

개인대출을 위조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는 반면 우리은행 사건은 기업 인수·합병(M&A) 자금을 횡령한 것이고,

경남은행 사건도 취급단위가 큰 PF대출을 대상으로 삼은 탓이다.

경남은행은 지난해 우리은행 사건이후 내부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올해 1월 횡령직원을 창원 소재 본사의 투자금융기획부로 이동시켰다.

이전까지 횡령 직원은 15년간 동일업무를 담당했다. 경남은행 관계자는 “횡령직원이 투자금융부에 15년 간 근무한 이유는 실적이 좋았기 때문이다.

보통 한 부서에서 5년 근무하면 이동하지만 그보다 더 길게 있는 경우도 있다”며 “대출을 직접 다루는 부서에 오래 뒀던 것 자체가 문제가 된 것 같다”고 전했다.

횡령이 이뤄졌던 기간에 경남은행이 자체적으로 정기검사를 실시했지만 횡령을 알아차리지 못했다.

경남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PF대출 업무가 굉장히 전문적인데다가 수법이 교묘해 정기검사에서도 적발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횡령액수 가운데 상당부분이 다른 횡령의 ‘돌려막기’에 사용된 점은 우리은행 사건과 차이가 있다.

우리은행 사건은 이란에 대한 금융제재 탓에 묶여있는 돈이 횡령됐다. 어차피 운용할 수도 없고 업무관계자도 더 적은 탓에

장기간 관심에서 멀어진 자금인 셈이다. 그러나 경남은행 사건은 명의를 도용당하거나 상환금을 편취당한 국내 PF시행사들이 있어 횡령직원이

계속해서 상환자금을 마련해야만 했다. 횡령직원이 돌려막기에 동원한 PF대출이 추가될 경우 전체 횡령액수는 크게 늘어날 수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