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질이 확 올라갔다 MZ세대 새 유행 정체

삶의 질이

삶의 질이 확 올라갔다 MZ세대 새 유행 정체

삶의 질이 확 올라갔다 MZ세대 새 유행 정체

사라더니 주가 뛰더라 127억 챙긴 사람들, 은행 직원

서울 성수동의 한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직장인 A씨는 1시간30분 남짓한 평일 점심시간에도 맛집 ‘도장 깨기’를 한다.

식당마다 예약은 이미 꽉 찬 경우가 많지만 앱을 이용해 원격으로 줄서기(웨이팅)를 걸어놓을 수 있는 덕분이다.

붐비기 시작하는 오전 11시께 대기 목록에 이름을 올려두면 점심시간에 맞춰 들어갈 수 있다.

불볕더위 아래서 기약 없는 기다림을 견딜 필요도 없다. 그는 “삶의 질이 확 올라간 느낌”이라고 했다.

몇 년간 움츠러들었던 오프라인 외식 시장이 활기를 되찾으면서 외식 플랫폼 경쟁에도 불이 붙었다.

팬데믹 기간에 배달 앱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한 것처럼 인기 오프라인

식당을 중심으로 웨이팅이나 테이블 주문 시스템 등의 플랫폼 사용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10일 스타트업업계에 따르면 외식 플랫폼 캐치테이블이 내놓은 웨이팅 서비스의 누적 이용 건수는 65만 건을 넘어섰다.

캐치테이블이 지난해 말 출시한 웨이팅 서비스는 이용자가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올 3월 대비 지난달 이용 건수는 1500% 증가했다.

캐치테이블은 웨이팅의 세분화를 차별점으로 내세웠다.

단순히 연락처와 인원을 등록하는 것을 넘어 홀·룸이나 포장 여부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이용자가 다른 매장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웨이팅을 취소해 ‘노쇼’를 방지하는 기능도 넣었다.

웨이팅 분야에서는 후발주자지만 300만 명에 이르는 캐치테이블 앱 자체의 월간활성이용자(MAU)와 7000여 곳의 제휴

매장을 토대로 업계 점유율 1위를 노릴 수 있을 것으로 회사는 보고 있다.

캐치테이블이 시장에 진입하기 전까지 국내 웨이팅 서비스 분야는 테이블링과 나우웨이팅이 1~2위를 다퉜다.

테이블링은 지난해 기준 MAU 115만 명, 회원 300만 명을 확보했다.

앱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료 재화인 ‘폭탄’을 사용해 원격 줄서기나 순서 미루기 등의 기능을 쓸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유료 재화는 자체 결제 시스템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또 2017년 가장 먼저 서비스를 시작한 나우웨이팅은 앱 기반이 아니라 카카오톡 기반 서비스를 내세웠다.

점주와 소비자 모두 접근성을 높였다는 강점이 있다. 2020년 야놀자가 이 서비스를 인수했다.

업계는 외식업 활황과 함께 웨이팅이 MZ세대를 중심으로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았다는 데 주목한다.

맛집에 대기를 걸어두고 기다리는 시간에 카페 등 다른 곳에서 시간을 보내는 ‘0차 문화’라는 신조어도 생겼다.

더 이상 웨이팅이 지겨운 과정이 아니라는 의미다.

캐치테이블 운영사 와드의 용태순 대표는 “외식업계에선 예약을 넘어 웨이팅 경험까지 공략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다”며

“MZ세대의 목소리를 반영해 변화하는 외식 트렌드에 발맞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핵심”이라고 말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