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삼바 현대차 목표주가 아직 멀었다
엔비디아 삼바 현대차 목표주가 아직 멀었다
잘나가는 미국 일본 펀드 넣었는데 왜 폭망 울상 이과장 뭘 샀길래
직장인 김모씨(52)는 2년간 보유했던 SK하이닉스를 지난 달 5%의 수익을 내며 팔아버렸다.
불만족스런 수익률이지만 지난 2021년 3월 주가 최고점에 들어간 이후 마음 고생을 생각하면 ‘괜찮다’고 스스로 위로했다.
올해 김씨와 같은 개인투자자는 SK하이닉스를 2963억원 어치(3월5일까지 누적)를 순매도했다.
그러나 최근 한달 하이닉스 주가가 20% 더 오르자 김씨는 오히려 안절부절 못하고 있다.
그는 “현금화하지 말고 계속 하이닉스를 보유할 걸하는 후회가 밀려온다”고 털어놨다.
최근 투자 업계에서 주식 매도를 통해 수익 실현을 했지만 해당 주식 주가가 더 올라 배가 아픈 투자자가 늘고 있다.
이는 한국은 물론 미국과 일본 등 글로벌 주식시장에서 최근 벌어지는 현상이다.
전세계 옥석가리기가 본격화되자 뚜렷한 목표주가를 정해놓고 투자해야 한다는 원칙론이 부상하고 있다.
향후 실적과 그동안의 주가 흐름을 통해 목표주가를 정하고, 현재 주가 보다 높다면 계속해서 보유하는 중장기 투자 전략이 대안으로 제시된다.
간단한 주가 지표와 공식만 이해하면 개인도 목표주가를 계산해 투자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블룸버그 데이터를 통해 목표주가를 산정해보니 미국과 일본에 비해 국내 주식의 주가 상승 여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선 SK하이닉스를 비롯해 삼성바이오로직스, 네이버, 현대차 등이 저평가 상태로 나온다.
올 들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 중인 일본 시장은 의외로 대부분이 목표주가를 넘어서 저평가 투자 매력은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경우 양극화가 심했는데 주가가 급등한 엔비디아의 주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고, 아마존과 테슬라 역시 저평가 매력이 오히려 높아지고 있어 주목된다.
중장기 투자와 분산 투자의 ‘단짝’은 나만의 목표주가 정하기다.
이는 월스트리트의 애널리스트들과 ‘큰손’ 투자자들도 반드시 거치는 절차다.
상장사 기업가치(시가총액)는 주식 수에 현재 주가를 곱해서 산출한다.
주식시장은 항상 극도의 흥분과 공포에 휩쓸리기 때문에 현 주가가 기업의 실력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할 때가 많다.
이때 기업이익과 주식수 등을 감안해 미래 주가 혹은 목표 주가를 산출할 수 있다.
대표적인 지표가 특정기간의 예상 순익을 주식수로 나눈 주당 순이익(EPS)에 일정 배율을 곱하는 것이다.
배율로는 통상 과거의 주가수익비율(PER)을 쓴다. 이렇게 계산한 값이 목표 주가 역할을 한다.
현 주가가 목표주가 보다 낮다면 저평가됐다고 판단할 수 있다.
EPS와 PER 등은 주요 정보사이트에 공개돼 있어 초보 투자자도 곧바로 계산하기 쉽다.
다만 어느 정도 기간의 어떤 데이터를 쓰느냐에 따라 가격은 천차만별이다.
이번 분석에선 2024년 예상 EPS와 과거 3개년(2021~2023년) PER 평균값을 적용했다.
이 방식의 문제점은 EPS가 자주 바뀐다는 것이다. 애널리스트들이 기업의 실적 발표 시점에서 상장사 실적 변화를 감지해 그때그때 EPS를 수정하기 때문이다.
다만 이런 기준을 갖고 있는다는 것 자체가 투자의 나침반 역할을 해줘 이유 없이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실수를 줄여준다.
5일 블룸버그 데이터를 활용해 국내 시가총액 상위 톱10의 기업 가치를 분석해보니 목표주가가 현 주가(3월4일 기준) 보다 높은 곳이 7곳이나 됐다.
반도체 업종의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제약 바이오 투톱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같은 그룹이지만 올해 기아 보다 주가가 덜 오른 현대차
첨단소재와 바이오 사업에 박차를 가하는 LG화학, 국내 플랫폼 대장주 네이버 등이다.
목표주가가 현 주가 보다 높다는 것은 해당 기업의 주가가 저평가돼 있어 향후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