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살려면 주식시장 키워 개혁 필요

대한민국 살려면 주식시장 키워 개혁 필요

대한민국 살려면 주식시장 키워 개혁 필요

대한민국 살려면 주식시장 키워 개혁 필요

코스피 2400 붕괴 하락해 2350대 출발

헌법재판소는 4월 4일 오전 11시 22분,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했습니다

이제 새로운 권력이 다시 부상할 시기가 도래했습니다

새로운 정부는 늦어도 6월에 들어설 예정입니다

이번 기획에서는 국민의 부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을지, 자본시장과 부동산을 취재해 온 기자로서 살펴보겠습니다

한국 경제, 2/3가 부동산에 치우쳐 있다

고령화로 주식시장 붕괴 가능성 제기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가계는 비금융자산(부동산) 9774조원, 금융자산 5204조원을 들고 있습니다

가계자산의 65%가 부동산, 35%가 금융상품입니다

금융상품 중에선 예금 현금 2410조원, 보험 연기금 1457조원, 주식 펀드 1127조원, 채권 167조원 순입니다

금융상품 중 예금 보험 비중은 무려 74%에 달합니다

정부와 기업도 자산비중은 비슷합니다

정부는 비금융자산 4693조원, 금융자산 2395조원을 들고 있습니다

제조업 비중이 큰지라 기업도 비금융자산(토지 공장 등)이 7337조원, 금융자산은 4034조원을 들고 있습니다

정부와 기업도 비금융자산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4 66%로 가계와 비슷합니다

이 같은 자산은 은행의 담보대출로 뒷받침됩니다

은행의 대출규모는 지난 2023년 말 기준 4401조원에 달합니다

이 중 약 절반은 기업대출로(공장 등을 담보로 잡고), 절반은 가계대출(주택담보대출 등)로 구성돼 있습니다

은행은 가계와 기업, 정부가 들고 있는 예금(약 3600조원)을 수취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출해줍니다

하지만 가계 기업 정부 모두가 부동산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제 구조는 위험합니다

고령화가 지속됨에 따라 핵심 지역을 제외한 부동산 가격은 하락할 가능성이 크고, 이는 부동산 담보 대출을 기반으로 한 금융 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즉, 한국 경제가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동산 중심의 금융 구조를 변화시켜야 합니다

그래서 나오는 것이 바로 기업 밸류업, 코스피 5000 담론입니다

하지만 이 또한 어렵습니다

은퇴 인구가 늘어날수록 주식시장 투자자가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한국금융학회서 지난해 발간한 한국 금융의 미래서, 김세완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와 김경록 미래에셋자산운용

고문은 향후 국내 주식시장 규모를 2035년 1948조원 → 2050년 1749조원 → 2070년 618조원으로 추정했습니다

주식시장의 붕괴는 곧 혁신기업의 붕괴를 의미합니다

자본은 규모에 따라, VC 초기기업 투자 PE 중견기업 투자 IPO 상장 코스닥 코스피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외국인투자자가 저성장 때문에 한국 주식시장을 점점 외면하고 있는 상황서, 국내 주식투자자 마저 해외주식으로 갈아타기를 하는 중입니다

이렇게 되면 상장이 점점 어려워지고, 이에 따라 상장 이전의 투자(VC PE 투자)도 힘들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