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품 꺼지나 국내 코인 거래금액 두 달 만에 4분의 1토막

거품 꺼지나 국내 코인 거래금액 두 달 만에 4분의 1토막

거품 꺼지나 국내 코인 거래금액 두 달 만에 4분의 1토막

거품 꺼지나 국내 코인 거래금액 두 달 만에 4분의 1토막

딥시크 열풍 타고 중국 주식 얼마나 샀나 보니

비트코인이 지난해 12월 10만달러를 돌파한 뒤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면서

두 달 새 국내 가상자산 시장 거래대금도 76%가량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알트코인의 약세가 길어지면서 알트코인을 선호하는 국내 시장의 투자심리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지지부진한 장세가 이어지며 가상자산 업계에서도 이를 만회하기 위한 전략을 고심하고 있다.

최근 4분기 실적을 발표한 비트코인 채굴업체들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 새로운 먹거리 발굴에 나서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14일 가상자산 통계 사이트 코인게코에 따르면 이번주(지난 10~13일) 국내 5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6조432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 최고 수준을 기록했던 12월 첫째 주(지난해 12월 2~8일) 하루 평균 거래대금인 27조2559억원의 23.6%에 불과하다.

두 달 새 4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셈이다.

이는 비트코인이 지난해 12월 10만달러를 돌파한 이후 두 달 넘게 박스권 움직임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이나 관세 쇼크 등의 이슈가 있었지만 큰 틀에선 9만달러에서 11만달러 사이에 머무르고 있다.

국내 코인 시장을 기준으로는 알트코인의 약세가 시장 거래대금이 줄어드는 데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트레이딩뷰에 따르면 비트코인을 제외한 가상자산의 시가총액은 지난해 12월 8일 1조6100억달러에서 이날 오후 2시 기준 1조2400억달러로 22.98% 감소했다.

같은 기간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이 4.31% 감소한 걸 감안하면 알트코인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부진했던 셈이다.

알트코인 선호도가 높은 국내 코인 시장 특성상 투자자들의 관심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구글트렌드 기준으로도 국내 투자자들의 가상자산 관심도는 지난해 12월 초 대비 5분의 1 수준이다.

지지부진한 흐름이 이어지며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을 두고 부정적인 전망도 나온다.

비트코인 회의론자로 유명한 피터 시프 유로퍼시픽캐피털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장기적 크립토 윈터가 도래했다”고 밝혔다.

가상자산 업계에서도 이 같은 흐름에 대비하는 움직임이 나온다.

특히 비트코인 채굴기업들은 AI 데이터센터 등 새로운 먹거리 발굴에 나서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비트코인 가격이 크게 올랐지만 채굴에만 집중하지 않는 모습이다.

지난해 4분기 사상 최고 실적을 기록하면서 주가가 크게 상승한 트레이딩 기업들과 대조적이다.

대표 비트코인 채굴기업 라이엇플랫폼스는 13일(현지시간) 제이비 레버턴, 덕 무턴, 마이클 터너 3명이 이사회에 새롭게 임명됐다고 밝혔다.

라이엇은 이들이 향후 ‘비트코인 채굴 자산의 AI 및 고성능컴퓨터(HPC)용 자산으로의 전환’과 관련된 사업을 이끌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채굴기업 코어사이언티픽은 지난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 코어위브와 기존 비트코인 채굴장을 AI 데이터센터로 전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으로 코어사이언티픽은 향후 12년간 87억달러의 매출 발생을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비트코인 채굴기업들이 신성장 동력 발굴에 나서는 이유로 비트코인 채굴 수익성 감소가 꼽힌다.

비트코인이 여러 차례 반감기를 거치면서 채굴에 대한 보상이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