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억대 손실인 토종 OTT 합병 내부서도 회의론
1000억대 손실인 토종 OTT 합병 내부서도 회의론
국내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티빙과 웨이브가 합병수순을 밟고 있지만 실제 합병 성사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주주 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고 합병에 따른 시너지 효과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합병법인 1대 주주가 될 CJ ENM 내에서 조금 더 시일을 두고 합병을 심사숙고하자는 기류도 감지된다.
11일 투자은행(IB)업계와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티빙과 웨이브 합병법인 최대주주가 될 CJ ENM 핵심 인사들 사이에서는
최근 진행중인 티빙·웨이브 합병 건에 대해 부정적인 목소리가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IB업계 관계자는 “웨이브 지분을 가지고 있는 지상파 3사와 한 배를 타는 것이 과연 OTT 콘텐츠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든다는 게 일부 주요 주주사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는 우려”라며 “실제 합병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여러 난관이 예상된다”고 상황을 전했다.
앞서 지난 5일 CJ ENM(티빙 모회사)과 SK스퀘어(웨이브 모회사)는 양사 합병을 추진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고 실사를 거쳐 이르면 내년 초 본계약을 맺을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CJ ENM 내에서 합병 신중론이 부각되고 있는 이유는 시너지가 불명확하기 때문이다.
양사 모두 연간 1000억원대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어 합병시 재무적 부담이 크다.
아울러 중복 가입자수도 꽤 되서, 실제 월간 활성이용자수가 크게 늘지 못할 것이란 진단도 나온다.
지난 10월 기준 OTT 월간 활성이용자수(MAU)는 넷플릭스(1137만명) 쿠팡플레이(527만명) 티빙(510만명) 웨이브(423만명) 순이다.
산술적으로 보면 티빙과 웨이브가 합치면 근 1000만명이 되어야하지만 실제로 업계선 700만명대로 예상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스포츠 중계권을 통해 2위까지 점유율을 빠르게 상승시킨 쿠팡플레이를 벤치마킹해
스포츠 중계권 및 관련 콘텐츠에 더 집중하자는 의견도 CJ ENM서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똑같은 적자회사인 웨이브를 끌어안느니, MZ층이 좋아하는 스포츠 등 타 콘텐츠를 개발하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셈이다.
일각에선 합병을 통한 내수시장 점유율 확대보다는 적극적인 해외진출을 통해 유료 구독자를 늘리는게 선행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합병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나오는 또 다른 이유는 복잡한 주주 구성이다.
티빙은 CJ ENM(48.85%), 네이버(10.66%), SLL중앙(12.75%), KT스튜디오지니(13.54%) 등의 지분 구조를,
웨이브는 SK스퀘어(40.5%), SBS(19.8%), MBC(19.8%), KBS(19.8%)의 지분 구조를 갖고 있다.
합병법인의 1대 주주는 CJ ENM, 2대 주주는 SK스퀘어로 가자고 정리를 해두긴 했지만,
잔여지분을 어떻게 배분할지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이사회 내 지분별로 이사를 배분할 경우,
사공이 많아 배가 산으로 갈 수 있다는 진단도 나온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CJ ENM 입장에선 현재 합병을 최우선으로 둘 필요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