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부자 총 가계자산 보유 내년 투자처 주택보다 이것
한국 부자 총 가계자산 보유 내년 투자처 주택보다 이것
테마주 광풍 에 올 한 해 배부른 증권사 4분기 실적이 무려
한국 0.89% 부자가 전체 가계자산의 59%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주택 등 부동산을 통해 자산을 불린 경우가 많았으나 올해는 예·적금을, 내년부터는 주식 투자비중을 늘릴 것으로 알려졌다.
18일 KB금융경영연구소 ‘2023 한국 부자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보유하고 거주용 주택을 포함한
부동산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부자 수가 45만6000명으로 추산됐다.
전체 인구의 0.89%에 불과하지만 한국 전체 가계 총 금융자산의 59%(2747조원)를 보유하고 있다.
부자 10명 중 9명(41만6000명)은 1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자산가’였다.
금융자산이 100억원 이상 300억원 미만인 ‘고자산가’는 6.9%(3만2000명), 30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가진 ‘초고자산가’는 1.9%(9000명)였다.
올해 한국 부자는 금융시장과 부동산시장 모두 위축된 상황에서 예·적금 보유율을 늘렸다.
한국 부자의 올해 ‘예·적금’ 보유율은 94.3%로 지난해 84.5% 대비 9.8%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거주용 외 주택’ 보유율은 전년대비 1.0% 포인트 하락했다.
한국 부자들은 내년 고수익 예상 투자처로 주식(47.8%)을 가장 선호 수단으로 꼽았다.
그 뒤를 거주용 주택(46.5%), 금·보석(31.8%), 거주용 외 주택(31.0%) 등을 꼽았다. 금·보석 선호도는 2022년(26.8%)에 비해 상승했다.
주식 투자의 경우 기간은 1~3년 미만(36.8%), 수익률은 연 24% 수준을 기대했다.
평균 주식 보유 기간이 14.8일에 불과한 개인 투자자들에 비해 훨씬 길었으며, 해외 주식(41.8%)보다 국내 주식 투자(74.8%) 의향이 높았다.
부자들은 향후 3년 정도 중장기적으로 고수익이 기대되는 유망 투자처로도 ‘거주용 주택’ 44.3%, ‘주식’(44.0%), ‘거주용 외 주택’ 32.3%, ‘금·보석’(32.0%) 등을 지목했다.
이는 전년과 비교해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데, 2022년에는 ‘거주용 외 주택’(43.0%), ‘거주용 주택’(39.5%),
‘빌딩·상가’(38.0%), ‘토지·임야’(35.8%) 등 부동산을 우선순위로 꼽았고 ‘주식’(31.0%)과 ‘금·보석’(26.8%)은 후순위로 밀렸다.
미술품 투자에 대한 부자들의 관심도 부쩍 늘었다.
부자 10명 중 3명(30.6%)은 ‘미술품 투자를 한 적이 있거나 현재 미술품을 보유·투자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2022년(25.4%)에 비해 5.2% 포인트 늘었다. 작품당 최대 지급 의향 금액도 ‘6000만~1억원 미만’이 24.2%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인 ‘1000만~3000만원 미만’(27.3%)과 비교해 액수가 3배 이상 껑충 뛰었다.
지난 4월 아트바젤(Art Basel)과 스위스연방은행(UBS)의 ‘2023년 미술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미술시장 규모는 678억 달러(약 89조1000억원)로, 한국은 1%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이 보고서 통계에 잡혔다.
KB금융경영연구소 관계자는 “시장금리와 우·러 전쟁, 인플레이션 등 국제 정세와 경제 상황이 불확실하게 변하면서
자산 가치 하락의 위험이 있는 부동산 보다는 안정적인 금·보석이나, 기업 가치 등을 기준으로 개별주식을 우선
투자처로 꼽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개인의 자산관리가 쉽지 않은 요즘, 부자들의 자산관리
사례를 활용해 나와 유사한 성공모델을 찾아 실행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