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 앞두고 기존 집 안팔려 스트레스 수도권 곳곳 ‘텅 빈’ 아파트
입주 앞두고 기존 집 안팔려 스트레스 수도권 곳곳 ‘텅 빈’ 아파트
집에 살려면 매년 1억? ‘실거주 가능’ 믿은 9만가구 날벼락
정부의 대대적인 부동산 규제 완화로 회복세를 보이던 수도권 지역 아파트 입주율이 석 달 만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를 분양받은 실수요자는 기존 주택의 매도금액 또는 현재 거주 중인 전세보증금으로 잔금을 충당한다.
그런데 기존 집이 팔리지 않거나,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 할 경우 입주 계획에 차질이 생길 수 밖에 없는 처지에 놓일 수 있다.
14일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지난 5월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총 1만7088건으로, 전년 동월(1만1555건) 대비 47.9% 증가했다.
2019년 9월(2만1055건) 이후 1년 8개월 만에 가장 많은 거래량인 동시에 지난해 10월(5114건)과 비교하면 3.3배가량 급증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전월 대비 증가세를 보이며 2021년 말 수준을 회복했다. 5월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3711건으로 1년 전보다 56.5% 증가했고,
인천과 경기 역시 각각 2707건(53%↑), 1만670건(43.9%↑)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지난달 수도권 입주율은 석 달 만에 다시 하락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6월 전국 입주율은 63.6%로,
5월(66.7%) 대비 3.1% 포인트 하락했다
수도권은 80.1%에서 78.5%로 1.6% 포인트, 지방은 63.9%에서 60.4%로 3.5% 포인트 감소했다.
수도권인 서울(86.7%→84.5%)과 인천·경기권(76.7%→75.5%) 모두 하락했다. 정부의 규제 완화 이후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이 회복세를 보이고는 있으나,
여전히 평년 수준 이하인 데다 입주물량 증가로 세입자마저 구하기 어려워지면서 적체 물량 해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방의 경우 강원권(56.2%→50.0%), 대전·충청권(68.5%→61.0%), 대구·부산·경상권(66.3%→ 61.5%)의 입주율 하락폭이 컸다.
반면, 광주·전라권(56.8%→57.5%)과 제주(62.2%→72.2%)는 상승했다.
미입주 원인은 ‘기존 주택 매각지연’(49.1%)이 절반을 차지했는데, 이는 전월(44.0%)보다 5.1% 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다.
세입자 미확보(26.0%→21.8%)와 잔금대출 미확보(20.0%→16.4%)도 각각 4.2% 포인트, 3.6% 포인트 내려갔다.
지난달 대비 이달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전국적으로 85.5에서 76.0으로 9.5 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수도권은 3.1 포인트(87.3→90.4) 상승, 지방은 12.1 포인트(85.1→72.9) 급락하며 지역별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9월 큰 폭으로 하락한 뒤 우상향하던 입주전망지수가 이달 하락한 원인으로는 미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과 주택시장 양극화가 지목된다.
주산연 관계자는 “지방 주택시장의 침체는 높은 미분양 물량과 신규 분양 물량에서 기인한다”면서 “시장이 정상화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한편, 입주율 저하로 건설업체의 자금 부담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우려된다. 아파트 입주율은 전체 아파트에서 입주를 했거나
잔금을 납부한 주택의 비율을 의미한다. 분양가는 계약 시 10~20%, 중도금 60%, 나머지 잔금 20~30%를 분납한다.
결국 100% 분양됐더라도 입주일이 낮으면 건설업체의 자금 운영 차질이 불가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