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가격 상승 소비자 반응에 애플 시가총액 1위 변화
아이폰 가격 상승 소비자 반응에 애플 시가총액 1위 변화
우리에게는 재앙급 대통령 고집에 결국 2위로 주저앉은 애플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전쟁의 영향으로 애플이 나스닥 시가총액 순위에서 밀려나 2위로 내려갔다.
반면, 중국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마이크로소프트 MS는 하락세가 완화되며 애플을 제치고 시가총액 1위 자리를 차지했다.
현지 시간으로 8일, 미국 뉴욕 증시에서 애플의 주가는 전날 대비 4.98% 급락해 172.42달러로 장을 마쳤다.
이에 따라 애플의 시가총액은 약 2조5928억 달러 약 3848조 원으로 축소됐다.
같은 날 MS는 주가가 0.92%의 비교적 적은 폭으로 하락하며, 시가총액이 약 2조6358억 달러 약 3912조 원에 이르러 애플을 앞질렀다.
애플 주가 급락은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최대 104%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중국이 지난 10일부터 34%포인트의 추가 관세를 적용하며 3차 보복 조치를 시행한 데 대한 반응이었다.
이로 인해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애플 주요 제품의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고 수요 둔화도 예상되는 상황이다.
애플에게 중국은 전체 제품 생산의 약 95%를 담당하는 핵심 생산 기지이자 최대 시장이다.
특히 애플은 중국에서 폭스콘, 페가트론 등 주요 협력 업체들을 통해 제품을 공급받고 있으며, 선전과 청두 등의 지역이 그 중심이다.
인도와 베트남 등 다른 국가에서도 생산을 진행하고 있지만, 중국에 견줄 정도의 비중은 아직 아니다.
예를 들어 인도에서 아이폰 생산 비중은 약 10~15% 수준이며, 베트남 공장은 주로 에어팟과 애플워치 같은 웨어러블 기기 제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중국은 지난 한 해 애플 총 매출 약 3910억 달러 중 약 17% 670억 달러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시장이기도 하다.
그러나 미·중 갈등이 지속되면서 중국 소비자들마저 애플을 외면하고 샤오미, 화웨이 등 국내 브랜드를 선호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아이폰 판매량에 중대한 타격이 예상된다.
반면 MS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사업 모델 덕분에 관세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을 것으로 투자자들은 기대하고 있다.
MS의 대표 제품인 윈도우, 오피스, 클라우드 컴퓨팅 등은 제조업 제품이 아니라 서비스에 해당하므로 관세 영향권을 벗어나 있다.
현재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관세는 자동차, 철강, 전자기기 같은 물리적 제품에 적용되고 있어 MS의 서비스 기반 비즈니스는 비교적 안전하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MS의 2024회계연도 기준 하드웨어 매출은 약 47억 달러에 불과하며, 이는 전체 매출 약 2450억 달러의 1.9% 수준에 머문다.
더불어 MS의 중국 매출 비중이 세계 시장에서 겨우 1.5%에 불과해, 중국이 보복 조치를 취하더라도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한 MS는 이미 중국 내 합작 회사인 위크리소프트에서 2000명 직원을 해고하고 운영을 중단하는 등 사업 규모 축소 전략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애플도 올해 말까지 아이폰 인도 생산 비중을 25%로 확대하고, 인도네시아 바탐과 반둥 지역에 공장을 설립하는 등의 노력으로 중국 의존도를 줄여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