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더 이상 변방 아니다 기관의 대규모 진입 시작됐다

비트코인 더 이상 변방 아니다 기관의 대규모 진입 시작됐다

비트코인 더 이상 변방 아니다 기관의 대규모 진입 시작됐다

비트코인 더 이상 변방 아니다 기관의 대규모 진입 시작됐다

한진칼 강세 지속 추격 매수 전 리스크 점검해야

올해 비트코인 시장의 주도권이 개인 투자자에서 글로벌 기업과 기관으로 점차 이동하고 있다.

올해 들어 개인 투자자의 비트코인 보유량이 약 24만 7000개 줄어든 반면, 기업과 기관의 보유량은 약 15만 7000개 증가하면서 전반적인 흐름에 변화가 감지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비트코인이 단순한 투기성 자산을 넘어 디지털 금 혹은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로 이어진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리버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개인 투자자의 비트코인 보유량이 급감한 반면

글로벌 기업들은 구매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시장의 변화를 주도했다.

그 중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보유한 기업으로 알려진 스트레티지는 전체 기업 매수량의 77%를 차지하여 시장 내 영향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특히, 기업들의 보유량 증가 속도는 상장지수펀드(ETF)와 펀드 등이 추가로 매수한 4만 9000개를 크게 웃돌았다.

리버는 보고서를 통해 2024년 이후 기업의 비트코인 보유량이 154% 증가했다고 발표했으며, 올해 1분기에도 16%나 상승했다고 밝힌 바 있다.

상장 기업들의 행보도 주목할 만하다. 현재 약 80개 상장사가 비트코인 총 공급량의 3.4%를 보유하고 있으며

올해 1분기 동안 새로운 12개 상장사들이 비트코인 시장에 처음 진입하였다.

산업별로는 금융 및 투자 회사가 비트코인을 보유한 기업 중 35.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뒤이어 IT 등 기술기업이 16.8%, 컨설팅이나 전문서비스 회사가 16.5%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뿐만 아니라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도 활발히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 가상자산 거래소인 코인베이스는 보고서를 통해

기관 투자자의 83%가 올해 가상화폐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글로벌 투자은행

번스타인은 올해 기업의 재무부서에서의 비트코인 투자 규모가 약 50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변화는 비트코인이 단순 투자의 범주를 넘어 인플레이션을 방어하고 자산 보존의 수단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며 시장에서 보다 안정적인 자산으로 자리잡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분석을 뒷받침한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피델리티는 수익률이 저조한 기업들에게 대안적 투자 방안으로 비트코인을 제시하면서

기업이 현금 보유액의 단 3%만 비트코인에 할당하더라도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피델리티의 크리스 카이퍼 연구책임자는 최근 10년 동안 기업들이 주로 단기 국채나 채권에 투자했지만 이들의 실질 수익률은 1.3%에 불과했다고 지적하며

연평균 79%의 수익률을 기록한 비트코인이 인플레이션 헤지 측면에서 효과적인 대안임을 강조했다.

그는 또한 비트코인이 주식이나 채권과 낮은 상관관계를 보여 포트폴리오 다각화에도 유리하다는 점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