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이 대세라는데 관련 종목 너무 많네 한중일 로봇 대장주

로봇이 대세라는데 관련 종목 너무 많네 한중일 로봇 대장주

로봇이 대세라는데 관련 종목 너무 많네 한중일 로봇 대장주

로봇이 대세라는데 관련 종목 너무 많네 한중일 로봇 대장주

트럼프 측근과 회동한 홍준표 초고수는 재빨리 테마주 매도

“새해를 맞아 삼성전자와 엔비디아가 똑같이 로봇을 미래 신사업으로 선정한 만큼

성장주 포트폴리오에서 미국과 일본의 전통 로봇주(레거시) 투자 비중을 늘릴 예정입니다.”

8일 서울 여의도에서 만난 A자산운용사 대표는 “인공지능(AI)을 접목한 로봇이 저출산과 초고령화, 비용 절감을 동시에 이뤄줄 유일한 대안”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국내 로봇 관련 기업(K로봇주)은 적자 상태로 초기 스타트업 수준”이라고 설명하면서

“일반 투자자 입장에서 일본 로봇주는 ‘은행 예·적금’, K로봇주는 ‘비트코인’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올해 초 로봇 테마를 이끄는 ‘쌍두마차’는 엔비디아와 삼성전자다. 최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 기조연설에서 “2023년 ‘챗GPT’처럼 로봇의 시대가 오고 있다”고 밝혔다.

작년에 AI 소프트웨어 ‘그루트’를 내놓은 엔비디아는 2025년 상반기 중에 로봇용 컴퓨터 ‘젯슨토르’를 출시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국내 최초 2족 보행 로봇 ‘휴보’ 개발사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35%까지 끌어올리고,

로봇 사업부를 별도로 신설하는 등 로봇 사업에 진심이다.

한국과 미국을 대표하는 두 기업 모두 반도체 중심의 사업구조를 로봇 등 신사업으로 다각화하고 있다.

이들의 투자 확대가 한·미·일 레거시 로봇주의 실적 기대감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레거시 주식으로 레인보우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등 ‘K로봇주’는 물론 미국 의료용 ‘로봇팔’ 기업 인튜이티브서지컬(주식명 ISRG)과 자동

이동 로봇사 테라다인, 일본 공장 자동화 1등 기업 키엔스와 산업용 로봇 세계 1등 화낙 등이 향후 ‘로봇 전성시대’의 최대 수혜주로 꼽힌다.

이들 6대주는 ‘Global X Robotics & AI’(티커명 BOTZ) 상장지수펀드(ETF) 등 주요 국내외 로봇 관련 ETF에 중복으로 포함돼 있다.

매출 중 주요 비중이 로봇이나 공장 자동화 부문에서 나오고 있다는 공통점도 갖는다.

올해 월가 투자은행들의 목표주가에 따르면 키엔스, 두산로보틱스, 화낙의 주가는 여전히 상승 여력이 남아 있다고 보지만,

최근 급등세인 레인보우로보틱스와 테라다인은 실적 대비 주가가 이미 고점에 도달했다고 추정한다.

아울러 배당 투자자 입장에선 키엔스가 매력적이란 분석이 나온다.

화낙은 ‘후지산 숲속에 숨어 있는 보석 같은 회사’라는 평가를 받는다.

노란색으로 대표되는 산업용 로봇은 화낙을 대표하는 이미지이며 이 분야 세계 1등이다.

화낙은 자신의 기술력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극도로 경계해 여전히 종이 서류를 쓴다는 점에서 다소 폐쇄적인 경영 문화로도 유명하다.

로봇 관련 수직계열화된 사업구조와 미·중으로 분산된 매출 비중은 화낙의 두 가지 장점이었다.

그러나 최근 수년째 “성장성이 없다”와 “중국 의존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으며 주가가 정체돼 있다.

로봇 투자를 시작하는 투자자 입장에선 화낙이 가장 저평가된 회사라는 분석도 있다.

매출 대비 시총을 뜻하는 주가매출비율(PSR)은 야후파이낸스 기준으로 4.9배에 불과하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